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KBO 연봉, 메이저리그와 비교

by regettoo 2025. 5. 17.
반응형

2025년 현재 KBO 리그의 연봉은 점점 상승하고 있지만, 여전히 메이저리그(MLB)와는 큰 격차가 존재합니다. 야구팬들이 자주 궁금해하는 주제 중 하나가 바로 “KBO 선수들은 얼마나 받고 있고, MLB 선수들과 어느 정도 차이가 나는가?”입니다. 본 글에서는 2025년 기준 KBO 리그와 MLB의 평균 연봉, 최고 연봉, 포지션별 연봉 차이 등을 비교 분석하고, 그 배경과 의미를 상세히 설명합니다. 야구 시장의 규모 차이와 연봉 구조의 차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야구경기장

 

1. 평균 연봉 비교: KBO와 MLB의 현실

2025년 기준 KBO 리그의 전체 선수 평균 연봉은 약 1억 5천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외국인 선수를 제외한 국내 선수만을 기준으로 산출한 수치입니다. 반면, 메이저리그(MLB)의 평균 연봉은 약 500만 달러, 한화로 약 65억 원 수준입니다. 즉, 평균적으로 메이저리그 선수들은 KBO 선수보다 약 40배 이상 높은 연봉을 받고 있는 셈입니다. 이러한 격차는 단순히 리그 수준의 차이만으로 설명되진 않습니다. MLB는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 시장을 대상으로 운영되며, 구단 수익 구조가 방송 중계권, 티켓 판매, 스폰서, 머천다이징 등 매우 다양하고 크기 때문입니다. 반면 KBO는 아직 국내 시장 중심의 수익 구조이며, 중계권료와 관중 수익에서 MLB에 비해 매우 제한적인 상황입니다. 특히 MLB는 연간 전체 리그 수익이 약 150억 달러(약 20조 원)에 이르며, KBO는 전체 리그 수익이 약 7000억 원에 불과합니다. 이 같은 시장 규모 차이가 곧 선수 연봉으로 직결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KBO 리그도 흥행 성장을 바탕으로 연봉 인상 추세가 이어지고 있어, 향후 격차는 일부 좁혀질 여지가 있습니다.

2. 최고 연봉 비교: 슈퍼스타 간의 격차

2025년 KBO 최고 연봉자는 LG 트윈스의 김현수로, 연봉은 약 20억 원입니다. 반면 MLB에서 가장 높은 연봉을 받는 선수는 뉴욕 양키스의 애런 저지, 또는 다저스의 무키 베츠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의 연봉은 약 4,000만 달러, 즉 한화 약 520억 원에 달합니다. 이는 KBO 최고 연봉의 25배 이상 수준입니다. MLB에서는 FA 시장에서의 계약 규모가 천문학적입니다. 선수 한 명이 10년 계약에 4억 달러(약 5,200억 원) 이상을 받는 사례가 있을 정도입니다. 예를 들어, 슈헤이 오타니는 2024년 오프시즌에 LA 다저스와 10년 7억 달러 계약을 체결하며 역사상 최고액 계약을 경신했습니다. 반면, KBO에서는 FA 계약이 최대 4~6년, 총액 100억 원을 넘기면 대형 계약으로 간주됩니다. 이 같은 차이는 리그 간 수익 구조와 연봉 상한 제도의 유무에서 비롯됩니다. MLB는 연봉 상한제가 없지만, KBO는 연봉 총액을 일정 부분 제한하거나 샐러리캡 도입을 논의하는 중입니다. 또한, 외국인 선수의 몸값도 큰 차이를 보입니다. KBO의 외국인 투수는 평균 100만~150만 달러 수준의 연봉을 받고 있으며, MLB 외국인 선수들의 평균 연봉은 이보다 10배 이상 높습니다.

3. 포지션별 연봉 구조와 기대치의 차이

KBO와 MLB 모두 포지션에 따라 연봉 편차가 큰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MLB에서는 특히 타자 중심, 특히 홈런타자와 클로저급 투수의 가치가 더 높게 평가됩니다. KBO에서는 여전히 타자 중심이긴 하지만, 선발 투수에 대한 연봉 반영이 조금 더 균형 있게 나타나는 편입니다. 예를 들어, 2025년 KBO의 선발 투수 중 최고 연봉을 받는 곽빈은 약 15억 원을 수령하며, 이는 타자들 못지않은 수준입니다. 반면 MLB에서는 사이영 수상 후보급 선발 투수들이 연평균 3,000만 달러(약 390억 원) 수준의 연봉을 받습니다. 이는 곽빈의 약 25배에 해당합니다. 또한 MLB는 수비 능력, WAR(승리 기여도), 타율 외에도 OPS, wRC+, BABIP 등 세부 지표들을 정밀 분석해 연봉 협상에 적극 반영합니다. KBO 역시 세이버메트릭스가 도입되긴 했지만, 여전히 전통적인 타율, 홈런, 타점이 연봉 결정에 더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이로 인해 MLB는 수비가 뛰어난 유격수나 빠른 외야수에게도 고액 연봉이 책정되는 반면, KBO에서는 중심타자나 선발 에이스 중심으로 고연봉 구조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포지션 간 연봉 형평성, 통계 기반의 평가 시스템 등이 향후 KBO 리그의 발전 방향으로 제시되고 있는 이유입니다.

 

2025년 기준으로 KBO와 MLB 간의 연봉 차이는 여전히 상당합니다. 이는 시장 규모, 리그 수익 구조, 연봉 체계의 차이에서 기인하며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양 리그 간의 차이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향후 KBO가 수익 구조를 다변화하고, 선수 평가 기준이 고도화된다면 격차는 점차 줄어들 수 있습니다. 야구 팬이라면 이런 구조적 차이를 이해하고, 각 리그의 장점을 비교하며 즐기는 관점이 필요합니다.

반응형